맨위로가기

콜레주 드 프랑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레주 드 프랑스는 1530년 프랑수아 1세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인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모든 것을 가르침"을 표방하며 자유로운 학문 연구를 장려했다. 현재 수학, 자연과학, 철학, 사회학, 역사학, 언어학, 고고학 등 7개 분야에서 54명의 교수가 무료 공개 강좌를 제공하며, 학위 수여 없이 연구 활동에 집중하는 특징을 가진다. 엑상프로방스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미셸 푸코, 앙리 베르그송 등 저명한 학자들이 교수로 재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30년 설립 - 만토바 공국
    만토바 공국은 이탈리아 북부에 존재했던 공국으로, 곤차가 가문이 1328년 정권을 장악한 후 1530년 공국으로 승격되었으며, 예술 후원과 오페라 발전에 기여했으나 만토바 계승 전쟁으로 쇠퇴하여 1708년 합스부르크에 의해 영토를 상실했다.
  • 파리의 교육 - 고등사범학교
    파리 고등사범학교는 프랑스 혁명기에 교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어 프랑스 지성의 중심이자 그랑제콜로 자리 잡았으며, 경쟁적인 입학 시험을 통해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제공하고 프랑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명문 고등교육기관이다.
  • 파리의 교육 - 에콜 상트랄 파리
    에콜 상트랄 파리는 1829년 알퐁스 라바예에 의해 설립된 프랑스의 명문 그랑제콜로, 산업혁명 시대 엔지니어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어 국립학교로 전환 후 2015년 수펠레크와 통합, 현재 파리-사클레 대학교의 구성 기관이다.
  • 미셸 푸코 - 생명정치
    생명정치는 국가 권력이 개인의 삶과 신체에 대한 통제를 행사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개념이며, 미셸 푸코는 이를 인구의 생물학적 측면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정의하고, 현대 사회에서 생명공학, 팬데믹,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된다.
  • 미셸 푸코 - 박정자 (교수)
    박정자는 미셸 푸코와 장 폴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한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학자이며, 푸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사르트르 철학 입문서를 저술하는 등 학술적 성과와 대중적 인지도를 동시에 얻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 - [대학]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콜레주 드 프랑스 로고
콜레주 드 프랑스 문장, 1699년 루이 14세가 특허장으로 수여
라틴어 명칭Collegium Franciæ Regium
표어Docet omnia
표어 (로마자)Doket omnia
표어 (번역)모든 것을 가르친다
설립일1530년 (왕실 칙령)
설립자프랑수아 1세
유형공립
소속PSL 대학교
쿠프랭 컨소시엄
본부 위치파리
캠퍼스도심 지역
옛 이름

조직
책임자토마스 뢰머 (행정관)
교수진47개 강좌 (2016년 기준)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콜레주 드 프랑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530년 프랑수와 1세가 설립한 콜레주 드 프랑스는 인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소르본 대학교의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콜레주 루아얄'(Collège royal프랑스어, 왕립 콜레주)로 불렸으며, 제정 시절에는 '콜레주 앵페리알'(Collège impérial프랑스어, 제국 콜레주)이라고 불렸다. 1870년부터 현재의 '콜레주 드 프랑스'라는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14]

콜레주 드 프랑스의 표어는 «Docet omniala» (모든 것을 가르침)이다.

2010년에는 파리 대학 연합체인 PSL 연구대학교(PSL Research University)의 창립 준회원이 되었다.

2. 1. 설립 배경

1530년 프랑수와 1세 왕실 문고 담당자이자 고대 그리스 문학 번역가인 기욤 뷔데(Guillaume Budé프랑스어)의 건의로 인문학자들이 강의하는 교육기관이 만들어졌다.[14] 이것이 콜레주 드 프랑스의 시초이다.

처음에는 '콜레주 루아얄'(Collège royal프랑스어, 왕립 콜레주)로 불렸으며, 제정 시절에는 '콜레주 앵페리알'(Collège impérial프랑스어, 제국 콜레주)라고 불렸다. 1870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라는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원래는 그리스이스라엘에 관한 두 개의 교수직이 만들어졌으나, 이후 프랑스법, 로마, 수학, 의학 등 10개 분야가 추가되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루뱅의 콜레지움 트릴링구에를 모델로 하여 설립되었다. 인문주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은 이 학교는 히브리어, 고대 그리스어(초대 교수는 유명한 학자 야누스 라스카리스였다), 수학 등의 학문을 장려하기 위해 소르본 대학교의 대안으로 설립되었다.[7]

프랑스 최초의 르네상스 군주로 일컬어지는 프랑수아 1세는 스콜라학의 본거지였던 파리 대학교(소르본)에 대항하여 자유로운 학문 연구 기관으로서 콜레주 루아얄(왕립대학)을 설립하여 계몽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설립 당시 교수진은 히브리어,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수학 교수 6명이었다.

2. 2. 명칭 변화

1530년 설립 당시에는 '콜레주 루아얄'(Collège royal프랑스어, 왕립 콜레주)로 불렸으며, 제정 시절에는 '콜레주 앵페리알'(Collège impérial프랑스어, 제국 콜레주)이라고 불렸다.[14] 이후 '콜레주 데 트루아 랑그'(Collège des trois languesla,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히브리어), '콜레주 나시오날'(Collège national프랑스어) 등으로 불리다가 1870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란 이름이 정착되었다.

3. 역할 및 특징

콜레주 드 프랑스는 행정 자율성이 보장되며 수업료, 학위 수여 등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점이 특징이다. 석좌교수들은 무료로 공개 강의를 하고, 고학력을 요하는 특별한 과목 외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과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최고의 석학들만 석좌교수로 초빙되며, 이들은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대신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다.[15]

강의는 누구든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으며, 약 50명의 교수가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들 자신이 선택한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모토는 Docet Omnia|모든 것을 가르친다la이며, "만들어지는 과학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리스 메를로퐁티는 "획득된 진리가 아니라 자유롭게 수행되는 연구의 아이디어"라고 표현했는데, 이 문구는 대강당 위에 금색 글씨로 새겨져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 안뜰


2021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21명과 필즈상 수상자 9명이 이곳과 관련이 있다. 콜레주는 유럽 최고의 연구 도서관과 연구실을 갖추고 있으며, 도서관은 역사, 인문학, 사회과학, 화학, 물리학 분야의 희귀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

수석 연구원부터 박사 과정, 석사 과정, 심지어 학부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한다. "leçons inaugurales"(개강 강연)는 파리 지식 및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행사이며, 많은 파리 시민들의 관심을 끈다.

3. 1. 교육 과정 및 학문 분야

현재 콜레주 드 프랑스는 수학, 자연과학, 철학, 사회학, 역사학, 언어학, 고고학의 7가지 과목으로 교육 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에는 54개의 교수 자리가 있다. 학위는 없고 강좌는 무료이며, 입학이나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15]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가 된다는 것은 프랑스 교육계에서 매우 큰 영광으로 여겨진다.

행정의 자율성이 보장되며, 수업료나 학위 수여 등의 규제로부터 자유롭다. 석좌교수들은 무료로 공개 강의를 하며, 높은 수준의 학력을 요구하는 특별한 과목 외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과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최고의 석학들만이 석좌교수로 초빙되며, 이들은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대신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다.

2021년 기준으로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9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콜레주 드 프랑스와 관련되어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다. 각 교수는 누구든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는 강의를 해야 한다. 약 50명의 교수는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들 자신이 선택한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모토는 "Docet Omnia" (Docet Omnia|모든 것을 가르친다la)이며, 그 목표는 "만들어지는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다.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말인 "획득된 진리가 아니라 자유롭게 수행되는 연구의 아이디어"가 이를 가장 잘 요약하며, 이 문구는 대강당 위에 금색 글씨로 새겨져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연구실과 유럽 최고의 연구 도서관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희귀 서적이 있는 역사, 인문학, 사회과학, 화학, 물리학 분야에 중점을 둔 부서가 있다.

2009년 6월 기준으로 650개가 넘는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 오디오 팟캐스트가 아이튠즈에서 제공된다. 일부는 영어와 중국어로도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콜레주 드 프랑스 웹사이트에는 여러 강의 영상이 있다.

수석 연구원부터 박사 과정 또는 석사 과정 학생, 심지어 학부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한다. 또한 "leçons inaugurales"(개강 강연)는 파리 지식 및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행사이며 호기심 많은 파리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3. 2. 교수진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15]가 된다는 것은 프랑스 교육계에서 엄청난 영광으로 여겨진다. 2021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21명과 필즈상 수상자 9명이 이 콜레주와 관련이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진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역사, 고고학, 언어학, 동양학, 철학, 사회과학 등 여러 분야의 프랑코폰 학자들[8] 중에서 교수들 스스로 선출한 52명의 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강의를 하도록 초청받은 외국 학자들을 위한 자리가 두 자리 마련되어 있다.

저명한 교수진으로는 201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세르주 아로슈가 있다. 특히, 필즈상 수상자 8명이 콜레주 드 프랑스와 관련이 있다.

과거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과거 교수진 목록


3. 3. 운영 특징

콜레주 드 프랑스는 행정 자율성이 보장되며 수업료, 학위 수여 등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점이 특징이다. 석좌교수들은 무료로 공개 강의를 하고, 고학력을 요하는 특별한 과목 외에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과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최고의 석학들만 석좌교수로 초빙되며, 석좌교수들은 연구 활동에 참여하는 대신 학위를 수여하지 않는다.[15]

학위를 수여하지 않으며, 각 교수는 누구든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는 강의를 해야 한다. 약 50명의 교수는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들 자신이 선택한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모토는 Docet Omnia|모든 것을 가르친다la이며, 그 목표는 "만들어지는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다.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말인 "획득된 진리가 아니라 자유롭게 수행되는 연구의 아이디어"가 이를 가장 잘 요약하며, 이 문구는 대강당 위에 금색 글씨로 새겨져 있다.

2021년 기준으로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9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이 콜레주와 관련이 있다. 콜레주는 연구실과 유럽 최고의 연구 도서관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희귀 서적이 있는 역사, 인문학, 사회과학, 화학, 물리학 분야에 중점을 둔 부서가 있다.

수석 연구원부터 박사 과정 또는 석사 과정 학생, 심지어 학부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한다. 또한 "leçons inaugurales"(개강 강연)는 파리 지식 및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행사이며 호기심 많은 파리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3. 4. 연구 활동 및 시설

콜레주 드 프랑스는 유럽 최고의 연구 도서관과 연구실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은 역사, 인문학, 사회과학, 화학, 물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희귀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15] 엑상프로방스에 캠퍼스가 있으며, 엑상프로방스 3 대학교와 함께 자연 재해, 지진 연구를 위해 운영된다.

2021년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 21명과 필즈상 수상자 9명이 콜레주 드 프랑스와 관련이 있다.

4. 캠퍼스

엑상프로방스에 캠퍼스를 한 개 운영 중이다. 엑상프로방스 3 대학교와 함께 이곳은 자연 재해, 지진 연구를 위해 운영된다.

5. 역대 총장

재임 기간이름
1800년–1823년루이 르페브르지노(Louis Lefèvre‑Gineau)
1824년–1838년앙투안 이삭 실베스트르 드 사시(Antoine Isaac Silvestre de Sacy)
1838년–1840년루이 테나르(Louis Jacques Thénard)
1840년–1848년장-앙투안 레트론(Jean-Antoine Letronne)
1848년–1852년쥘 바르텔미-생틸레르(Jules Barthélemy-Saint-Hilaire)
1852년–1853년자비에르 드 포르테|Xavier de Portets프랑스어
1853년–1854년자크 린|Jacques Rinn프랑스어
1854년–1873년스타니슬라스 쥘리앵(Stanislas Julien)
1873년–1883년에두아르 르네 드 라부예(Édouard René de Laboulaye)
1883년–1892년에르네스트 르낭(Ernest Renan)
1892년–1894년가스통 부아시에(Gaston Boissier)
1894년–1903년가스통 파리(Gaston Paris)
1903년–1911년피에르 에밀 르바쇠르(Pierre Émile Levasseur)
1911년–1929년모리스 크루아제|Maurice Croiset프랑스어
1929년–1936년조제프 베디에(Joseph Bédier)
1937년–1955년에드몽 파랄(Edmond Faral)
1955년–1965년마르셀 바타용(Marcel Bataillon)
1966년–1974년에티엔 볼프(Étienne Wolff)
1974년–1980년알랭 오레오|Alain Horeau프랑스어
1980년–1991년이브 라포르트|Yves Laporte프랑스어
1991년–1997년앙드레 미켈(André Miquel)
1997년–2000년질베르 다그롱(Gilbert Dagron)
2000년–2006년자크 글로빈스키(Jacques Glowinski)
2006년–2012년피에르 코르볼(Pierre Corvol)
2012년–2015년세르주 아로슈(Serge Haroche)
2015년–2019년알랭 프로시앙츠(Alain Prochiantz)
2019년부터토마 로메르(Thomas Römer)


6. 저명한 교수진

콜레주 드 프랑스는 2021년 기준으로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9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했다.[8] 학위를 수여하지 않으며, 각 교수는 누구든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는 강의를 해야 한다. 약 50명의 교수는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들 자신이 선택한다.[8] 콜레주의 모토는 "Docet Omnia" (Docet Omnia|모든 것을 가르친다la)이며, 그 목표는 "만들어지는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다.[8]

과거 저명한 교수진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장-피에르 아벨-레뮤자
  • 레이몽 아롱
  • 장 프랑수아 부아소나드 드 퐁타라비
  • 에티엔 발뤼즈
  • 롤랑 바르트
  • 시몽 보디숑[9]
  • 에밀 벵베니스트
  • 앙리 베르그송
  • 클로드 베르나르
  • 마르셀랭 베르틀로
  • 이브 보누아
  • 피에르 불레즈
  • 피에르 부르디외
  •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 장-피에르 샹주
  • 로제 샤르티에
  • 안 썽[10]
  • 클로드 코앙-타누지
  • 알랭 콘
  • 이브 코팽
  • 조르주 퀴비에
  • 마리 앙리 다르부아 드 쥐뱅빌
  • 장 다르세
  • 자크-아르센 달송발
  • 피에르-질 드 젠
  • 에밀 드슈넬
  • 조르주 뒤비
  • 조르주 뒤메질
  • 뤼시앵 페브르
  • 오롱스 핀
  • 미셸 푸코
  • 페르디낭 안드레 푸케
  • 에티엔 푸르몽
  • 마르크 퓨마롤리
  • 알베르 가브리엘
  • 장-바티스트 갈
  • 샤를 지드
  • 에티엔 질송
  • 예르지 그로토프스키
  • 마르티알 게를루
  • 이언 해킹
  • 외젠 오귀스트 에르네스트 아베
  • 바르텔레미 데르벨로
  • 프랑수아즈 에리티에
  • 프레드릭 졸리오
  • 알프레드 조스트
  • 스타니슬라스 쥘리앙
  • 르네 라바 (아시리아학자)
  • 에두아르 르네 르페브르 드 라부아예
  • 실베스트르 프랑수아 라크루아
  • 르네 라에넥
  • 폴 랑주뱅
  • 앙리 르베그
  • 르네 르리슈
  • 에마뉘엘 르 로이 라뒤리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앙드레 리시네로비치
  • 알프레드 루아지
  • 에드몽 말랭보
  • 앙리 마스페로
  • 루이 마시뇨
  • 마르셀 모스
  • 모리스 메를로-퐁티
  • 쥘 미슐레
  • 아담 미츠키에비치
  • 장-바티스트 모랭 (수학자)
  • 알렉시 폴랭 파리
  • 아벨 파베 드 쿠르테이유
  • 폴 펠리오
  • 프랑수아 페티 드 라 크루아
  • 기욤 포스텔
  • 에드가르 키네
  • 페트루스 라무스
  • 앙리 빅토르 르노
  • 루이 로베르 (역사학자)
  • 장-바티스트 세
  • 빅토르 시알락
  • 장-피에르 세르
  • 프랑수아 시미앙
  • 가브리엘 시오니타
  • 앙드레 바이앙
  • 폴 발레리
  • 프랑수아 바타블
  • 장-피에르 베르낭
  • 클레르 보아쟁[11]
  • 쥘 뷔이멩
  • 하랄트 바인리히[12]
  •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 장 요요트[13]
  • 돈 자기어

6. 1. 인문학 및 사회과학

미셸 푸코, 미셸 브레알, 모리스 메를로퐁티, 클로드 베르나르,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앙리 베르그송, 피에르 부르디외, 롤랑 바르트 등 여러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들이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교수로 재직했다.[8]

과거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인물분야
장-피에르 아벨-레뮤자
레이몽 아롱
장 프랑수아 부아소나드 드 퐁타라비
에티엔 발뤼즈
롤랑 바르트
시몽 보디숑[9]
에밀 벵베니스트
앙리 베르그송
클로드 베르나르
이브 보누아
피에르 부르디외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로제 샤르티에
안 썽[10]
마리 앙리 다르부아 드 쥐뱅빌
에밀 드슈넬
조르주 뒤비
조르주 뒤메질
뤼시앵 페브르
미셸 푸코
에티엔 푸르몽
마르크 퓨마롤리
알베르 가브리엘
장-바티스트 갈
샤를 지드
에티엔 질송
예르지 그로토프스키
마르티알 게를루
이언 해킹
외젠 오귀스트 에르네스트 아베
바르텔레미 데르벨로
프랑수아즈 에리티에
스타니슬라스 쥘리앙
르네 라바아시리아학
에두아르 르네 르페브르 드 라부아예
에마뉘엘 르 로이 라뒤리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알프레드 루아지
에드몽 말랭보
앙리 마스페로
루이 마시뇨
마르셀 모스
모리스 메를로-퐁티
쥘 미슐레
아담 미츠키에비치
알렉시 폴랭 파리
아벨 파베 드 쿠르테이유
폴 펠리오
프랑수아 페티 드 라 크루아
기욤 포스텔
에드가르 키네
페트루스 라무스
루이 로베르역사학
장-바티스트 세
빅토르 시알락
프랑수아 시미앙
가브리엘 시오니타
앙드레 바이앙
폴 발레리
프랑수아 바타블
장-피에르 베르낭
쥘 뷔이멩
하랄트 바인리히[12]
장 요요트[13]
가토 슈이치초빙교수
가브리엘 타르드
자크 부브레스
피에르 자네
앙드레 샤스텔
고카이 슈지초빙교수
페르낭 브로델
로제 디옹
쥘 오페르
마틴 픽포드
피에르 로상발롱
미셸 슈발리에
앙드레 지드


6. 2. 자연과학 및 수학

콜레주 드 프랑스는 2021년 기준으로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9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했다.[8]

과거와 현재의 저명한 교수진 중 자연과학 및 수학 분야에 속하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콜레주 드 프랑스 자연과학 및 수학 분야 교수진
이름분야비고
장-바티스트 모랭수학
실베스트르 프랑수아 라크루아수학
앙리 르베그수학
자크 아다마르수학
카미유 조르당수학
장피에르 세르수학필즈상 수상
알랭 콩느수학필즈상 수상
피에르-루이 리옹수학필즈상 수상
장크리스토프 요코스수학필즈상 수상
돈 자기어수학
클레르 부아쟁(Claire Voisin)수학[11]
자크 필립 마리 비네수학
앙드레마리 앙페르물리학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물리학노벨상 수상
피에르질 드 젠물리학노벨상 수상
클로드 코앙타누지물리학노벨상 수상
세르주 아로슈물리학노벨상 수상
클로드 베르나르생리학
프랑수아 자코브생물학노벨상 수상
자크 모노생물학노벨상 수상
알랭 베르토생물학
필리프 상소네티생물학
자비에르 르 피숑지구과학


7. 건물

1780년 장 샬그랭이 건설하였다.

8. 대중 공개

콜레주는 학위를 수여하지 않지만, 각 교수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는 강의를 해야 한다.[1] 약 50명의 교수를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들 자신이 선택한다.[1] 콜레주의 목표는 "만들어지는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다.[1]

수석 연구원부터 박사 과정 또는 석사 과정 학생, 심지어 학부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한다.[1] 또한 "leçons inaugurales"(개강 강연)는 파리 지식 및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행사이며 호기심 많은 파리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Les membres de Couperin https://web.archive.[...] 2018-07-12
[3] 서적 Classical and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Text and Readings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4] 서적 Paralyses: Literature, Travel, and Ethnography in French Modernity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5] 웹사이트 Decree 2019-1130 creating Université Paris sciences et lettres (Université PSL) https://www.legifran[...] 2020-07-23
[6] 서적 Éloge de la philosophie et autres essais Gallimard
[7] 간행물 Byzance et l'Europe : Colloque à la Maison de l'Europe, Paris, 22 avril 1994
[8] 웹사이트 Sanjay Subrahmanyam's biography on the site of the Collège de France https://www.college-[...]
[9] 서적 Le Collège Royal de France. Institution, Establissement et Catalogue des Lecteurs et Professeurs Ordinaires du Roy https://books.google[...] Bovillette 2021-01-16
[10] 웹사이트 Anne Cheng Biographie http://www.college-d[...] 2013-12-11
[11] 웹사이트 Biography at Collège de France website http://www.college-d[...]
[12] 웹사이트 Biography at Collège de France website https://www.college-[...]
[13] 웹사이트 Nécrologie de M. Jean Yoyotte (1927–2009) par Christiane Zivie-Coche http://asr.revues.or[...]
[14] 문서 당시 파리 대학교에서는 인문학 강좌가 없었다.
[15] 웹사이트 full list since 1530 http://www.colleg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